핫 이슈

한은, 연내 추가 금리 인상 시사...

Chris YJ 2021. 8. 26. 14:31

이주열 한은 총재는 26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 간담회에서 “금융 불균형 누적을 완화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에 저희가 (금리 인상) 첫 발을 디뎠다”며 “오랫동안 누적된 금융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는 것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고, 통화 정책 이외의 다른 수단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추가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묻는 말에 이렇게 답했다.

금통위의 이번 기준금리 인상 배경에는 집값 상승과 가계부채 급증 등에 따른 금융불균형 심화가 우선 꼽힌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도 “앞으로 통화 정책의 완화 정도를 점진적으로 조정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시기는 코로나19의 전개 상황 및 성장·물가 흐름의 변화,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 총재는 금리 인상 하나로 부동산 가격 급등 등이 해결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가계대출은 금리만의 문제가 아니고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대출 금리가 오른다고 하더라도 경제 주체들의 자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너무 높거나 주택 수급에 대한 우려가 있으면 그것도 차입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며 “금리 하나로 모든 것을 좌우하는 건 아니지만, 금리 효과는 그런 차입 수요를 제약하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준금리를 올리면 경제 주체들의 차입 비용이 높아지고, 위험 선호 성향을 낮추게 되기 때문에 가계부채 증가세나 주택가격 오름세를 둔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0.25%포인트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여전히 금리 수준은 완화적"이라며 "실질금리는 여전히 큰 폭의 마이너스(-)를 나타내고 있고, 실물경기에 제약을 주는 수준은 아닌 데다 중립금리보다도 기준금리는 여전히 낮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또 "추가 (금리) 조정의 시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경제에 줄 영향,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주요국의 정책 변화 등을 봐야 한다" "늘 그렇듯 서두르지도, 지체하지도 않겠다"고 말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현재 연 0.5%인 기준금리를 0.75%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기준금리 인상은 2018 11(1.501.75%) 이후 2 9개월(33개월) 내 처음이다.

 

연내 남은 금통위는 10월과 11월이다.

728x90